아름다운 손길로, 문화재를 지키는 사람들 대동문화재지킴이지도사회 서산답사

- 간조시에는 육지와 연결되고 만조시는 섬이 되는 신비로운 암자 간월암
- 이순신장군께서 1579년(선조 12년)에 충청병마절도사의 군관으로 근무했던 해미읍성
-1866년 병인박해 부터 1882년 사이 천주교 박해 때 1천여 명의 신자를 생매장한 순교성지

김오현 선임기자 승인 2023.11.14 19:39 | 최종 수정 2023.11.15 11:57 의견 0

아름다운 손길로, 문화재를 지키는 사람들
대동문화재지킴이지도사회 해미읍성 진남문 앞에서 단체사진(사진촬영 고경임)

2023년 11월 12일, 대동문화재지킴이지도사회 회원들은 충남 서산으로 답사를 떠났다. 이번 답사는 서산9경 중 제1경 해미읍성, 제2경 마애여래삼존상, 제3경 간월암, 제4경 개심사 등의 유적지를 중심으로 진행되었으며, 아울러 해미순교성지, 정순황후생가 등도 추가로 살펴보고 회원들의 아름다운 손길로 문화재 보존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되새기면서 답사를 다녀왔습니다.

무학대사 처럼 달을 보고 깨달음을 얻고 싶은 대동문화재지킴이지도사회 회원들...(사진촬영 박정세)

▶ 간월암(看月庵)

간월암 전경(사진촬영 정수경)

간월암은 충청남도 서산시부석면 간월도리에 위치한 작은 암자로 조선초 무학대사가 창건하였으며 만공대사가 중건하였다고 전해진다. 다른 암자와는 달리 간조시에는 뭍(섬이 아닌 본토)과 연결되고 만조시는 섬이 되는 신비로운 암자로 만조시에는 물위에 떠있는 암자처럼 느껴진다. 밀물과 썰물은 6시간마다 바뀌며 주위 자연경관과 옛 선조들의 숨결을 함께 느낄 수 있는 고찰이 어우러져 관광객의 발길이 줄을 잇고 있다.

깨달음의 세계(피안)을 꿈꾸면서 대동문화재지킴이지도사회 단체사진(사진촬영 박정세 )

또한 간월도에서 생산되는 굴의 풍년을 기원하는 굴부르기 군왕제가 매년 정월 대보름날 만조시에 간월도리 어리굴젓 기념탑 앞에서 있는데 이 행사는 부정한 행동을 하지 않은 청결한 아낙네들이 소복(흰옷)을 입고 마을입구에서 춤을 추며 출발하여 굴탑 앞에 도착되면 제물을 차려 놓고 굴 풍년 기원제를 지내며 채취한 굴은 관광객에게 시식도 시켜준다.

추억을 머금은 사진 한컷 1(사진촬영 고경임)
추억을 머금은 사진 한컷 2(사진촬영 박미경)

이곳에서 수행하던 무학이 어리굴젓을 태조에게 진상하였다는 전설이 내려오고 있다.
1530년(중종 25) 찬술한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는 간월도만 언급되어 있고 간월암은 언급되어 있지 않아 조선 후기 창건된 것으로 보인다. 조선 말엽에 폐사되었는데 1914년 승려 만공(滿空)이 다시 창건하였다고 전한다.

해미읍성에서도 가장 높은 곳에 있는 청허정과 솔잎향을 마시며 소나무 숲에서 단체사진(사진촬영 박정세)

▶ 서산 해미읍성(瑞山 海美邑城)

종 목 사적116호
명 칭 서산 해미읍성
지정일 1963.01.21
소재지 충남 서산시 해미면 읍내리 16번지
해미읍성 회화나무의 아픈을 간직하면서 김태석 선생 부부 기념사진(사진촬영 김낙현)

고려 말부터 국정이 혼란한 틈을 타서 왜구가 해안지방에 침입하여 막대한 피해를 입히는 바, 지방의 각도에 전임도절제사가 파견되면서 충청도병마도절제사영(忠淸道兵馬都節制使營)은 최영의 건의로 이산진에 설치하였으며, 조선 초기에 서해안에 출몰하는 왜구의 방어에 효과적으로 제압하기 위하여 조선 태종17년(1417)부터 세종3년(1421) 사이에 당시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덕산(德山)에 있던 충청병마도절제사영(忠淸兵馬都節制使營)을 이 곳에 옮기고자 축성(築城)되었으며, 효종3년(1652)에 병마절도사영(兵馬節度使營)을 다시 청주로 옮겨가기 전까지 230여 년간 군사권을 행사하던 성으로 있다가 병마절도사영이 청주로 이설되고 해미현의 관아가 이 성으로 옮겨졌으며, 1914년까지 겸영장(兼營將, 조선 시대에, 지방 수령이 겸임하여 각 지방 진영의 군사를 통솔하는 일을 맡아보던 무관 벼슬)이 배치되는 호서좌영으로서 내포지방의 군사권을 행사하던 곳이었다.

해미읍성에 대한 해설사 선생님에 경청하는 대동문화재지킴이지도사회 회원들...(사진촬영 박정세)
해미읍성 이곳저곳을 답사하면서 추억 한컷(사진촬영 박미경)

해발 130m인 북동쪽의 낮은 구릉에 넓은 평지를 포용하여 축조된 성으로서, 성벽의 아랫부분은 큰 석재를 사용하고 위로 오를수록 크기가 작은 석재를 사용하여 쌓았다. 성벽의 높이는 4.9m로서 안쪽은 흙으로 내탁되었으며 성벽 상부 폭은 2.1m 정도이다. 성문은 동·서·남·북 4곳에 있는데 네모지게 잘 다듬은 무사석(武砂石, 네모 반듯한 돌로 층을 지어 높이 쌓아올린 축석)으로 쌓았으며, 주 출입구인 남문(鎭南門, 진남문)은 아치모양의 홍예문으로 이루어져 있다.

솔잎향을 마시며 숲속에서 추억 한컷(사진촬영 고경임)
대동문화재지킴이지도사회 회원들의 발들고 누가누가 오래버티나...(사진촬영 박정세)

이 읍성에는 동헌을 비롯하여 아사(衙舍, 관아의 건물) 및 작청(作廳, 지방 행정의 실무를 담당하는 향리 및 아전들의 사무실) 등의 건물들이 빼곡히 있었으며, 천주교 박해와 관련된 유적도 일부 남아 있다. 1974년에 동문·서문이 복원되었고, 1981년 성내 일부를 발굴한 결과 현재의 동헌 서쪽에서 객사와, 현재의 아문(관아의 출입문) 서쪽 30m 지점에서 옛 아문지가 확인되었고, 관아외곽석장기지(官衙外廓石牆基址)가 발견되었다. 성의 둘레에는 적이 쉽게 접근하지 못하도록 탱자나무를 돌려 심어서 탱자성이라는 별칭이 있었다.
조선말기 천주교 박해 당시 약 1천여 명 이상의 천주교 신자들이 순교당한 천주교 성지이기도 하다.

해미 순교자 국제성지 앞에서 단체사진(사진촬영 박정세)

▶ 해미순교성지(海美殉教聖地)

충남 서산시 해미면에 위치한 천주교 순교성지로, 2021년 교황청에 의해 국내 두 번째 국제성지로 선포된 곳이다. 해미순교성지는 조선시대 때 해미현 관할 구역의 천주교 신자들이 처형된 곳으로, 이곳에서 처형된 천주교 신자는 병인박해(1866년, 고종 3년)부터 1872년까지 6년간 진행된 탄압으로 당시 2,000명 이상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순교자 국제성지의 이곳저곳...(사진촬영 박미경)

충남 서산시 해미면에 위치한 천주교 순교성지로, 유명한 성인이 있거나 특별한 기적이 있었던 곳은 아니지만 이름이나 세례명을 남기고 순교한 132명의 천주교 신자가 기록으로 남아 있다. 또 기록되지 않은 조선시대 2000여 명의 충청·경기 지역 천주교 신자가 1839년 기해박해, 1866년 병인박해 때 끌려와 처형된 곳으로도 알려져 있다.

해미순교성지 기념관에 팔이 묶여 끌려가고 있는 사람들과 해미 순교자 3명을 복자로 추대된 시복 기념비(사진촬영 김태석)


이곳은 '여숫골'이라고도 불리는데, 이는 조선시대 천주교 박해 당시 처형을 앞둔 천주교 신자들이 '예수 마리아'를 부르며 기도를 하였는데, 마을 주민들이 이 소리를 '여수(여우의 방언) 머리'로 잘못 알아들은 데서 유래한다. 성지는 가톨릭 신자들의 모금을 통해 건립이 시작돼 2003년 6월 완공되었으며, 2014년에는 교황 프란치스코가 이곳을 방문해 해미 처형자 3명을 가톨릭교회의 공적 공경 대상인 복자로 추대한 바 있다. 해미성지에는 ▷700석 규모의 대성당과 150석 규모의 소성당 ▷기념관 ▷당시 죽음을 당한 무명의 순교자들을 기리기 위한 ‘해미순교탑’ ▷사제관과 수녀원 ▷무명순교자의 묘 등은 물론 2014년 이곳을 방문한 프란치스코 교황의 동상이 설치돼 있다.
한편, 교황청은 2021년 3월 1일 해미순교성지를 국제성지로 지정해 선포했다. 한국에서 국제성지로 선포된 곳은 2018년 9월 서울대교구 순례길 이후 두 번째이며, 아시아에서는 세 번째다.

해미순교성지에 대한 여러곳을 설명해주시는 해설사(사진촬영 고경임)

대동문화재지킴이지도사회는 충청남도 서산시 답사에는 회원 20여 명이 참여하여, 서산의 대표적인 간월암, 해미읍성, 해미순교성지, 정순황후생가, 개심사,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등을 둘러보았다.
이번 답사 참가자들은 서산의 다양한 문화재들을 둘러보며, 한국의 역사와 문화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하는 시간을 가졌다. 또한, 문화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문화재를 지키기 위한 노력에 동참할 것을 다짐했다.
대동문화재지킴이지도사회는 앞으로도 다양한 답사 프로그램을 통해 문화재의 중요성을 알리고, 문화재를 지키기 위한 노력을 이어갈 계획이다.

🔳 참고문현

1. 이완섭, [문화관광 자료 ], 서산시청 홈페이지 , 2023.
2. 편세환, [서산문화재 자료 ], 서산문화원, 2023.
3. 최응천, [나만의 문화유산 해설사 자료], 문화재청, 2023.

ICPS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