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청각 고성이씨 사위가 된 제봉 고경명의 큰아들 고종후(高從厚) - 역사탐방(8탄)

- 안동 임청각의 신부가 산 넘고 물 건너 광주까지 먼 길을 떠나, 포충사의 신랑을 만나다
- 호남의 명문가인 고경명의 큰 아들 종후와 임청각 이명의 증손 ​이복원의 큰 딸이 결혼하다

김오현 선임기자 승인 2024.03.27 21:16 | 최종 수정 2024.03.28 18:23 의견 0

​​​장성군 영천리에 있는 제봉 고경명 의병장의 가족묘 앞 기념사진, 안동 임청각의 군자정 앞에서 기아국가유산지킴이 회원들 기념사진(사진촬영 박정세)

기아국가유산지킴이 회원과 가족들을 모시고 안동문화지킴이 김호태 이사장님 초청으로 석주 이상룡 선생의 나라사랑 정신도 배우고, 우리 고장 의병장 제봉 고경명(霽峰 高敬命)의 큰아들 준봉 고종후(隼峰 高從厚)와 입향조 이증(李增)의 4대손 이복원(李復元)의 큰딸 이씨(李氏)와 혼인해서 사돈지간으로 군자정에 고경명 편액(제임청각)이 있게 된 사연도 들어보고, 장흥고씨(長興高氏)와 고성이씨(固城李氏) 두 집안의 슬프면서도 자랑스러운 역사적 사실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광주 포충사 전경 및 광주문화유산지킴이(구' 대동문화재지킴이 지도사회) 회원들 방문 기념사진(사진촬영 박정세)
안동 임청각 전경(사진촬영 고경임)

▶광주 포충사(褒忠祠)와 안동 임청각(臨淸閣)의 인연

호남의 명문가인 장흥고씨(長興高氏, 제주고씨 장흥백파) 고경명(高敬命)의 큰 아들 종후(從厚)와 임청각(보물 182호)을 건립한 고성 이씨 이명(李洺)의 증손 ​이복원(李復元)의 큰 딸이 결혼하였다. 입향조의 4대손 이복원(李復元, 자녀 5남3녀)은 제봉 고경명(霽峰 高敬命, 자녀 6남2녀)과 사돈지간이다. 서울에서 같이 벼슬할 때 친교가 있었고, 그 인연으로 임청각 주인 이복원의 큰딸과 제봉의 큰아들 고종후가 혼인을 했던 것이다.

복수의병장(復讐義兵將) 준봉 고종후(隼峰 高從厚)의 영정과 경상남도 진주시 이반성면 발산리에 있는 묘소(사진제공 네이버 검색)

◾준봉 고종후(隼峰 高從厚)
준봉 고종후(隼峰 高從厚, 1554~1593)의 본관은 장흥(長興)이며, 자는 도충(道沖), 호는 준봉(隼峰)이다. 할아버지는 고맹영(高孟英), 아버지는 충렬공(忠烈公) 고경명(高敬命), 어머니는 김백균(金百鈞)의 딸 울산김씨(蔚山金氏)이다. 첫째 부인은 의령남씨(宜寧南氏)이고 둘째 부인은 고성이씨(固城李氏)이다. 고종후는 의령남씨와의 사이에 2녀, 고성이씨와의 사이에 2남 1녀를 두었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아버지와 함께 의병을 일으켰으며, 아버지와 동생 인후(因厚)는 제1차 금산(錦山) 전투에서 왜군과 격전 끝에 전사하였다. 이듬해 1593년 스스로 복수의병장(復讐義兵將)이라 부르며 제2차 진주성 전투 당시 진주성(晉州城)이 위급해짐을 듣고 의병을 이끌고 진주성에 들어가 김천일(金千鎰) · 최경회(崔慶會) ·양산숙(梁山 璹) 등과 함께 끝까지 싸우다가 남강(南江)에 몸을 던졌다. 고종후는 순절 당시 이미 시신이 손실되어 묘가 없었다. 지금 남아 있는 무덤은 1619년(광해군11)에 임금으로부터 윤허를 받아 6월 29일에 초혼장(시신을 찾을 수 없는 경우, 생시에 입던 의복 따위를 가지고 치르는 장례)한 묘이다. 1785년에는 왕의 특명으로 부조묘(不祧廟)를 만들게 되었다. 살아서는 남편의 시신도 못찾고 죽어서도 홀로 있는 고종후의 부인이자 고경명의 맏며느리 고성이씨가 슬프다 못해 애달프다.

임청각 1박2일 고택, 종갓집 체험활동 때 군자정, 사랑채 우물방 앞에서 전통복 입고 기념사진(사진촬영 박정세)

◾️고경명(高敬命)의 가족들 정유재란(丁酉再亂)때 안동 임청각(安東 臨淸閣) 큰형수의 친정댁에서 피난살이
1597년 정유재란(丁酉再亂)이 발생했을 때는 호남이 큰 피해를 입었는데, 이때 제봉 고경명(霽峰 高敬命)의 아들 넷째 고순후(高循厚), 여섯째 고용후(高用厚)를 포함하여 50여명의 가속을 거느리고 안동 임청각(安東 臨淸閣) 큰형수의 친정댁으로 피난간 것이다. 50명 가운데 10명은 가족이고 40명은 딸린 노복들이었다. 하지만 임청각에는 당시 명나라 군대가 머무르고 있어 얼마 있지 못하고 떠나야만 하였다. 임청각(臨淸閣)을 떠난 고씨 일가는 안동의 몇몇 명문가를 전전하며 피난살이를 하였다고 한다. 풍산의 예안 이씨 시은당(市隱堂) 이진(李珍)집에도 머물렀고, 금계의 학봉 종택(鶴峰 宗宅)에서도 몇 년간 머물렀다. 몇 달 있다 고순후(高循厚)는 광주로 되돌아갔지만 고용후(高用厚)와 가속 일부는 안동에 남는다. 이후 1618년 여름에 안동의 큰형수집으로 피란 왔던 고용후(高用厚)가 과거에 급제하고 안동부사가 되어 내려왔다. 그는 피란 당시 은혜를 입었던 고성이씨(固城李氏) 문중과 학봉 김성일(鶴峯 金誠一 )일가 등 사람들을 모시고 잔치를 베풀었다고 한다. 그리고 당시 경상감사였던 백사 윤훤(白沙 尹暄, 영의정 윤두수의 아들)과 함께 임청각(臨淸閣)을 방문한다. 이때 만남 임청각의 후손이 이복원(李復元)의 셋쩨 아들 이적(李適, 고성이씨 탑동파의 파조)이다. 회갑연에 지었던 제봉의 시를 보고 백사 윤훤(白沙 尹暄)이 차운(次韻)하여 지은 시가 임청각에 같이 걸려 있다.

임청각의 군자정 전경, 사랑채의 우물방은 임청각 문중에서 대대로 3명의 정승이 태어날 방으로 석주 이상룡 선생이 태어난 곳 앞에서 안동문화지킴이 김호태 이사장 설명을 듣고 있는 기아국가유산지킴이들...(사진촬영 이병봉)

▶고경명(高敬命)의 시 ‘제임청각(題臨清閣)’

고경명의 시 ‘제임청각(題臨清閣)’은 임란 직전 동래부사(東萊府使)였던 고경명이 이복원의 회갑연에 참석해 임청각과 주변 풍광의 아름다움을 노래한 것이다.

快閣凌 眺望新((쾌각릉 조망신) 훤출한 누각 초여름 더위 식혀 신선하니 조망이 새롭고
藏山小雨更留人(장산소우갱류인) 산에 머금은 축축한 이슬비는 나를 다시 머물게 하는구나
華筵卜夜歡惊洽(화염복야환경흡) 회갑잔치 주야로 이어지니 즐겁기 그지없고
勝事聯編喜氣津(승사연편희기진) 경사가 겹쳤으니 즐거움이 진진하도다
雲水抱村開活畫(운수포촌개활화) 운수가 마을을 에워싸니 한폭의 살아있는 그림이요
絲簧咽座擁嘉賓(사황인좌옹가빈) 갖은 악기 빠른 가락 손님들 흥을 돋운다
題詩不用知名姓(제시부용지명성) 시를 지은들 소용없고 주인 이름 다 아는데
過去天台賀季眞(과거천태하계진) 옛날 천태산 신선도인 하계진임에랴

제봉 고경명이 이복원의 회갑연에 참석해 임청각과 주변 풍광의 아름다움을 노래한 "제임청각(題臨淸閣)"이고 고태헌(高苔軒)은 고경명의 별호, 제봉의 시를 보고 백사 윤훤(白沙 尹暄)이 차운(次韻)하여 지은 시(사진제공 네이버 검색)

전라도 사람 고경명이 경상도 안동의 임청각까지 와서 남긴 시 현판이 어떻게 400년이 지난 지금까지 남아 있다는 말인가, 두 사람은 사돈 간이었다. 같이 서울에서 벼슬할 때 친교가 있었고, 그 인연으로 임청각 주인의 딸과 제봉(霽峰)의 큰아들인 준봉 고종후(隼峰 高從厚)가 혼인했던 것이다. 제봉(霽峰)이 사돈집이었던 임청각(臨淸閣)에 들른 시기는 임진왜란 1년 전인 1591년 신묘년 늦은 봄이다. 59세였던 제봉이 동래부사(東萊府使)를 그만두고 곧바로 고향 광주로 가지않고 서울로 가면서 중간에 들른 것이었다고 한다.
봄날의 찬란하였던 회갑연(回甲宴)이 지난 다음해에는 임진왜란이라는 난리가 발생한다. 하계진(賀季眞, 당나라때의 풍류시인 하지장)의 풍류를 읊었던 고경명은 칼을 들고 전쟁터로 나가 둘째 아들과 함께 금산전투에서 전사하였다. 임청각의 사위이자 제봉의 큰아들인 고종후는 2차 진주성 싸움에서 전사한다. 삼부자 모두 나라에서 불천위를 받았고, 고종후(高從厚)의 부인이자 제봉(霽峰)의 큰며느리인 고성 이씨는 이복원(李復元)의 큰딸이었다. 400년이 지난 지금도 고씨 집안에서 기제사(忌祭祀, 해마다 사람이 죽은 날에 지내는 제사)를 모신다고 한다.

​​​​​​광주문화유산지킴이(구'대동문화재지킴이 지도사회) 회원들이 포충사의 옛사우 입구 홍살문, 충노비, 옛사우 등을 살펴보고 주변에서 봄꽃들과 기념사진(사진촬영 박정세)

고경명(高敬命) 선생의 큰아들 고종후(高從厚)는 1593년 2차 진주성 전투에 참전해 김천일(金千鎰), 최경회(崔慶會) 등과 함께 끝까지 싸우다가 남강(南江)에 몸을 던졌다. 이들을 '삼장사(三壯士)'라고 한다. 살아서는 남편의 시신도 못찾고 죽어서도 홀로 있는 고종후의 부인이자 고경명의 맏며느리 고성이씨가 슬프다 못해 애달프다.
기아국가유산지킴이 회원과 가족들은 안동문화지킴이 김호태 이사장님의 초청으로 석주 이상룡 선생의 나라사랑 정신을 배우고, 고경명 장군의 후손과 고성이씨 가문의 역사적 사실을 배우며 유익하고 의미있는 시간을 가졌다. 결론적으로, 장흥고씨와 고성이씨는 슬픔과 자랑이 공존하는 역사를 가진 가문이다. 두 가문의 역사는 우리에게 애국심, 희생 정신, 역사적 유산의 보존의 중요성을 일깨워준다.


▣ 참고문현
1. 문정화, [안동 임청각 독립운동 명문가의 산실], 대구일보, 2019.
2. 사라유, [광주 포충사와 안동 임청각의 역사와 인연], 네이버 블로그 '사라유의 한복 이야기‘, 2020.
3. 이윤정, [고경명 신도비/ 고경명 묘소/ 고경명 제각], 네이버 블로그 '내 삶의 여유~', 2020.

#안동임청각 #석주이상룡 #이복원 #광주포충사 #고경명 #고종후 #고용후 #기아국가유산지킴이 #광주문화유산지킴이 #김오현선임기자

ICPS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