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안이씨(禮安李氏)는 경상북도 안동시 예안면을 본관으로 하는 유서 깊은 성씨이다. 전의이씨에서 분적된 이들은 고려 시대 충선왕 때 첨의정승을 지낸 이혼(李混)이 예안백(禮安伯)에 봉군(封君)되었으며, 그의 손자 이익(李翊)이 예안군(禮安君)에 봉해지면서 예안 이씨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특히, 이익(李翊)의 증손 이천(李蕆)은 조선 세종 때 과학자로, 앙부일구(仰釜日晷)와 자격루(自擊漏) 제작에 참여한 것으로 유명하다. 예안이씨(禮安李氏)는 안동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함께해 온 자랑스러운 성씨이다. 그들의 역사와 전통은 오늘날까지도 안동 곳곳에 남아 있으며, 지역 사회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 예안이씨(禮安李氏)
전의예안이씨(全義禮安李氏)의 시조 태사공(太師公) 이도(李棹)의 7세손(世孫) 동암수공(東巖叟公)이천(李仟)의 아들 3형제(兄弟) 중 고려 첨의정승(高麗 僉議政丞)을 지낸 문장공파(文莊公派)파조(派祖) 이혼(李混)이 국가(國家)에 공훈(功勳)하여 예안백(禮安伯)에 봉군(封君)되었으며, 또 그 손자(孫子)인 보문각제학(寶文閣提學)을 지낸 이익(李翊)이 예안군(禮安君)으로 봉군(封君)되어 그 군호(君號)를 따라 전의(全義)에서 예안(禮安)으로 이적(移籍)하여 예안이씨(禮安李氏)의 득관조(得貫祖)가 되었다. 1927년 문중간의 합의로 통합하였지만 현재 호적상의 본관은 전의와 예안이 구별되고 있으며 1927년에 통합은 종친들 간의 통합이었다.
안동의 예안이씨(禮安李氏) 득관조 인 이익(李翊)의 증손 백곡(栢谷) 이천(李蕆, 1376~1451)이 예안으로 중종 연간에 이익(李翊)의 6세손 이영(李英)이 풍산에 이거하여 살기 시작하면서 형성되었다. 이익(李翊)의 손자로 전리판서를 지낸 이송(李竦)의 아들 이천(李蕆)과 이온(李韞) 형제의 후손들이 서로 다른 시기에 각각 도산과 풍산에 입향하였다. 이온(李韞)의 증손 이영(李英)이 1519년 기묘사화에 신진사류들이 화를 당하는 것을 보고 동생 이전(李筌)과 이훈(李薰)을 데리고 현재의 풍산읍 하리리로 이거하였다. 예안이씨대종회의 설명에 의하면 진외조부(陳外祖父)인 안동찰방(安東察訪) 조안도(趙安道)의 별서(요즘의 별장)를 따라 왔다고 한다.
조선 초에 예안으로 입향한 것으로 보이는 이천(李蕆)계열의 입향 경위는 알 수 없다. 풍산으로 입향한 이영(李英)은 1507년 생원 진사 양시에 합격하였고 아들 이숙인(李淑仁)도 진사이다. 이영의 손자 율원(栗園) 이공(李珙, 1533~1612)은 문과에 급제하여 지평이 되었다. 이전(李荃)의 둘째 아들 풍은(豊隱) 이홍인(李洪仁, 1522~1594)은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순국하여 정려되었고 이홍인의 8세손 이한오(李漢伍)도 효행으로 정려되니 세인들이 이홍인의 집을 충효당(忠孝堂)이라 한다. 이훈(李薰)은 1534년에 생원시에 올랐고 이진(李珎)은 서애(西厓) 류성룡(柳成龍)의 문인으로 임진왜란 때 종군하였다.
이진(李珎)의 손자 고산(孤山) 이유장(李惟樟, 1625~1701)은 학문과 인품이 높다하여 공조좌랑, 안음현감 등을 제수하였으나 나가지 않았다고 한다. 풍산에 정착한 예안이씨는 학문을 닦고 충과 효라는 유가의 전통을 지켜 사마 출신 27명, 문과 출신 3명을 배출하였다. 예안으로 입향한 이천(李蕆)은 세종(世宗) 초 공조참판으로 있으면서 경자자(庚子字), 갑인자(甲寅字) 등 동활자 주조를 완성하여 문적(文籍) 간행에 신기원을 이루었으며, 혼천의(渾天儀), 앙부일구(仰釜日晷), 자격루(自擊漏), 측우기(測雨器) 등을 발명하여 천문·기상 관측에도 이바지하였고 판중추원사(判中樞院事)에 이르러 궤장을 하사받았다.
예안이씨(禮安李氏)는 전의이씨(全義李氏)에서 분적된 안동의 명문가로, 고려 시대 공신 이혼(李混)의 손자 이익(李翊)이 예안군에 봉해지면서 시작되었다. 이들은 충효양전(忠孝兩全) 청백절의(淸白節義)한 가풍을 지닌 조선 시대의 벌족으로, 과학자 이천(李蕆)과 의병장 이홍인(李洪仁) 등을 배출하며 안동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빛냈다. 예안이씨는 현재까지도 안동 곳곳에 그들의 역사와 전통을 이어가며 지역 사회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 참고문헌
1. 김복영, [예안이씨],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 2009.
2. 정진영, [안동 체화정],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 2009.
3. 한국인의 성씨,[전의 예안 이씨의 조형물과 문중의 유래],한국인의 성씨 밴드 , 2022.
4. 春和, [전의·예안 이씨 화수회 문중의 역사], 전의·예안 이씨 화수회, 2024.
#전의예안이씨시조 #이도 #예안이씨 #이혼 #이익 #조선이천 #이영 #이홍인 #이한오 #충효당 #체화정 #안동풍산 #선임기자김오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