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시神市와 축제
신시神市는 하늘의 뜻에 부합하는 부도符都에서 펼치는 제사이다. 부도는 나라의 중심지인 서울을 나타내는 말이다.
신시와 부도라는 명칭은 한웅천왕시대 배달나라를 세우면서 사용하였고, 단군조선의 아사달이 부도였다. 신시는 부도에서 하늘에 제사 지냈다는 것으로, 천제단을 세웠다는 의미에서 비롯되었다.
<한단고기>에 신시의 구조를 알 수 있는 기록이 있다.
「한웅천왕은 신시를 세울 때 태백산에서 남과 북의 방위를 가리키는 우물인 자정子井과 여정女井을 파고 자정과 여정 사이에 중심인 천제단天祭壇을 세웠다. 또 천제단 중심으로 사람들이 모여 살면서 문물을 교환하니 이를 신시라고 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부도지>제14장에 「이에 황궁씨의 후예 6만이 이주하여 지키고, 곧 나무를 베어 뗏목 8만을 만들어서, 신부信符를 새겨, 천지天池의 물에 흘려보내, 사해의 제족을 초청하였다.
제족이 그 신부가 새겨진 뗏목을 얻어서 보고, 차례로 모여들어, 박달나무 숲에 신시를 크게 열고, 수계정심修禊淨心하여, 천상天象을 살핀 후, 마고의 계보系譜를 닦아 그 족속을 밝히고, 천부의 음에 준하여 그 어문을 정리하였다.
또 북진北辰과 칠요七耀의 위치를 정하여 반석盤石의 위에서 속죄의 희생물을 구해 전奠을 올리고」란 기록이 있다.
이것은 신시는 나라의 중심을 말하며 그곳에서 반드시 하늘에 제사를 올렸다는 것을 나타낸다. 신시는 본디 세 가지로 나뉘는데 즉, 정치적인 중심지인 부도符都에서 행하는 것을 신시神市라 하고, 육산물의 중심지에서 열리는 것을 조시朝市라 하고, 해산물의 중심지에서 열리는 것을 해시海市라고 하였다.
다시 정리하면 신시神市는 부도에서 10년에 한 번씩 올리는 조선제를 말하며, 조시朝市는 보단 등 교통의 요충지에서 일 년에 한 번씩 드리는 추수감사제(보새報賽)를, 그리고 마지막 해시海市는 네 나루와 네 포구에서 일 년에 한 번씩 드리는 세제歲祭 (성황당 제사)가 아닌가 생각한다.
신시를 여는 목적은 그 당시에 제족들이 너무나 넓은 지역에 흩어져 살았기 때문에 오랜 세월을 지나다 보면 사투리가 생기듯이 언어가 달라지고 문화가 달라지고 생활풍속이 달라지고, 그러다 보면 마고의 계보를 잊어버리고, 수계정심하는 자세도 잊어버릴 것 같아 10년에 한 번씩 모여 삼신의 뜻을 기리고, 하늘에 제를 지내면서 삼신의 가르침을 일깨우고 하나라는 동질성을 회복하고 달라진 언어와 문화를 통일할 목적으로 신시를 열었다.
신시에 제사를 지내기 위하여 여러 지역에서 많은 제족이 참석할 때 그 지역의 토산물을 제사에 올리기 위하여 잔뜩 가져왔다. 신시에서 제사를 위한 일정량의 공물을 바치고 난 뒤 남은 지역 특산물들은 제족끼리 물물교환을 하였던 것이 난장이 되었고 시장으로 발전한 것이다.
신시에서 삼신께 제사를 지낼 때 각 지역의 특산물을 조금씩 공출하여 삼신 제사상을 차렸는데, 이때 특산물을 공출하는 관리를 공공이라고 불렀다. 훗날 공공은 대감이라 불렀다. 굿에서 대감거리에서 별비를 받는 것을 당연히 여기는 것은 신시에서 비롯된 유습이다.
신시의 난장에는 당연히 물물교환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재주를 가진 사람들이 재주를 보여주는 등, 품을 팔아서 경제적인 이익을 추구한 사람도 있었을 것이다. 이때 시작된 여러 가지 놀이가 지금의 풍물놀이를 비롯한 우리 민속놀이의 근간이 되었다고 부정할 수가 없을 것이다.
그러면 신시는 시장개념과 제사 개념을 함께 가지고 있는 복합적인 축제의 장인 것이다. 지금도 어느 나라 축제가 되었든 간에 그 장소에는 반드시 난장이 펼쳐진다.
축제는 바로 제사의 기능과 시장기능이 합해져서 이루어지는 민족 동질성 찾는 놀이이다.
그 후 치우천왕이 청구로 수도를 옮기고 신시를 열어 다시 한번 동이족의 단결과 우리는 하나라는 동질성을 찾았으나, 그 후 문헌에서 신시를 열었다는 기록을 찾아볼 수가 없다. 그 후 약 3000년이 지난 후 신라가 남태백에서 신시를 열고 대구의 옛 지명인 달구에서 조시를, 율포에서 해시를 열었다는 것을 기록에서 찾을 수 있다.
21세기를 맞이한 지금까지도 신시의 개념은 면면히 이어지고 있으니, 그것이 바로 축제이다. 축제祝祭는 어느 나라든 화려하게 펼쳐지고 있으며 축제가 있는 곳에는 난장이 펼쳐져 외관상으로는 신시의 형태를 띠고 있다.
그러나 신시의 가장 중요한 개념인 제사의 개념이 있다는 것이 외국의 축제와 우리의 축제가 다른 점이다. 바로 마고삼신의 자손이라고 할 수 있는 동이족의 축제는 반드시 제사가 필수적으로 행해지기 때문이다. 제사는 수계정심 · 해혹복본을 다짐하는 것으로 각지에서 많은 사람이 삼신께 바칠 특산물을 가지고 오면서 자연스럽게 난장이 펼쳐지는, 즉 처음 신시가 펼쳐졌던 원형의 형태를 그대로 따르고 있다 하겠다.
이 신시를 재현하는 축제의 한가운데 자리 잡고 있는 제사장이 바로 무당인 것이다. 무당은 신시의 주체이자 삼신의 대리자였다. 우리 상고시대에 무당은 바로 한인천제와 한웅천왕, 그리고 단군왕검인 것이다.
우리를 비롯한 동양의 축제에는 반드시 무당이 등장하여 하늘에 제례를 올리는 형태로 시작된다. 그리고 자연스럽게 난장이 펼쳐져 시장의 형태가 되므로 신시라고 할 수가 있다.
그러나 서양의 많은 축제에는 무당이 등장하지 않는다. 무당이 등장하지 않으니 신시의 가장 큰 목적인 하늘의 섬기는 제례가 있을 수가 없다. 그래서 서양의 신시는 축제라고도 할 수가 없다. 그냥 볼거리와 난장만이 존재할 뿐이다.
무당의 굿을 통하여 하늘과 통신하고 삼신의 뜻을 기리고 천부의 본음을 들으려는 노력이 있기에 우리의 축제는 옛 신시의 형태를 그대로 따르고 있다.
지금 대한민국에서 가장 먼저 할 일이 바로 부도를 건설하여 신시에서 제사를 드리는 것이다. 부도를 세워 신시에서 제사를 드린다는 것은 지구상에서 우리 대한민국이 인류의 중심국가라는 것과 우리 민족이 천손이라는 것을 만천하에 선포하는 것이다.
그렇게 하여 각국의 대표들을 초청하여 한 자리에 모여 삼신상제가 제사를 올리고, 삼신상제의 가르침을 깨우치고 인간의 본성을 회복하여 해혹복본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그리고 전 세계가 참가하는 지구촌 축제를 펼침으로써 세계평화에 신시가 크게 이바지하게 될 것이다.
올림픽이 세계 스포츠 축제라면 대한민국에서 신시를 여는 것은 인간성 회복을 위한 세계 축제인 셈이다.
그러나 지금의 대한민국은 기독교 세력에 의하여 민족의 정체성을 사라지고 왜곡된 기독교 정신만 남아 있으니, 앞날이 심히 걱정이 아닐 수 없다.
지금 지방에서 많은 축제가 펼쳐지고 있다. 그러나 처음으로 연 신시의 의미와 형식에 걸맞은 축제는 강릉단오제를 비롯한 몇 곳밖에 찾아볼 수 없는 것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ICPS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