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오늘 06.27] 253 어떤 교훈을 얻을 것인가

1516년[음]경기의 수원·인천·이천·용인·양성에 지진이 일어남/조선왕조실록//
2007년유네스코 세계 유산 위원회, 제주 화산섬·용암 동굴을 세계 자연 유산으로 등재/대한민국사 연표

김명호 전문위원 승인 2024.06.26 19:32 의견 0

출처: http://contents.history.go.kr/

1049년[음]고위 관리들에게 얼음을 주는 제도를 정함/고려사

1109년[음]동여진 사신들이 9성을 돌려주길 요청함/고려사

1323년[음]왜구가 군산도에서 조운선을 약탈함/고려사

1405년[음]평양 부원군 조준(趙浚) 죽음/조선왕조실록

1449년[음]경관(京官)·외관(外官)의 승진 규정을 개정함/조선왕조실록

1460년[음]과거 시험에 명경과(明經科)를 설치함/조선왕조실록

1469년[음]양주 봉선사(奉先寺)가 완성됨/조선왕조실록

1505년[음]제안 대군(齊安大君) 집에 가흥청(假興淸)을 두고 뇌영원(蕾英院)이라 부르게 함/조선왕조실록

1510년[음]김응기(金應箕)가 우찬성, 정광필(鄭光弼)이 병조 판서가 됨/조선왕조실록

1514년[음]《속삼강행실(續三綱行實)》을 편찬함/조선왕조실록

1516년[음]경기의 수원·인천·이천·용인·양성에 지진이 일어남/조선왕조실록

1517년[음]《소학(小學)》을 언문으로 번역하게 함/조선왕조실록

[음]축성사(築城司)를 비변사(備邊司)로 고침/조선왕조실록

1548년[음]평안도에서 전염병으로 129명이 죽음/조선왕조실록

1579년[음]전라도에 홍수가 나서 많은 사람이 표류하고 전답이 매몰됨/조선왕조실록

1600년[음]의인 왕후(懿仁王后, 선조 비)가 죽음/조선왕조실록

1617년[음]중국에서 염초(焰硝)를 사 옴/조선왕조실록

1624년[음]평양성 축성에 강원·황해·충청의 승군을 동원함/조선왕조실록

1699년[음]유상운(柳尙運)이 영의정, 서문중(徐文重)이 좌의정이 됨/조선왕조실록

1703년[음]해서 지방에서 붙잡은 청나라 어선과 어민을 돌려보내게 함/조선왕조실록

1733년[음]경상도에서 전염병으로 1,711명 사망/조선왕조실록

1744년[음]한여름이므로 죄가 가벼운 죄수를 관대하게 처결하여 석방하게 함/조선왕조실록

1827년[음]함경도 안변(安邊) 등에서 수해로 민가 189호가 유실되고 8명이 죽음/조선왕조실록

1899년〈지방 종두 세칙〉 반포/근대사 연표

1907년〈모병령〉 선포, 의무병제 채택/근대사 연표

1909년의병장 이은찬(1878~1909), 경성 감옥에서 사형 순국/근대사 연표

1910년광화문 우편국 낙성/근대사 연표

1911년〈조선총독부 유학생 규정〉 공포/근대사 연표

1918년각 도에 금융 조합 연합회 설치/근대사 연표

1935년각 도 지방 과장 회의, 군·면에 〈가옥세〉 부과 결정/근대사 연표

1947년입법 의원, 〈보통 선거법〉 통과/대한민국사 연표

1949년국무회의, 김구 장례 의식을 국민장으로 결정/대한민국사 연표

1950년공보처, 서울 사수를 공언하는 특별 담화/대한민국사 연표

무쵸 주한 미국 대사, 신성모 국무총리 서리가 이승만 대통령의 진해 피난을 통보하고 일본에 망명 정부 수립 가능성 타진했다고 보고/대한민국사 연표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북한 군사 제재에 대한 미국 제출 결의안 통과/대한민국사 연표

1953년일본 경비선 2척, 독도에 침입하여 한국 어민 6명 축출, 일본 영토 표식 건립/대한민국사 연표

1969년고려대 학생 5백여 명, 처음으로 거리에 진출하여 개헌 반대 시위/대한민국사 연표

1970년경부 고속 도로 완공, 전장 428㎞, 공사비 430억/대한민국사 연표

1987년치안본부, 6·10 규탄 대회부터 6·26 평화 대행진까지 전국에서 연 2,145회 시위 집계/대한민국사 연표

1993년감사원, 평화의 댐 건설 관련 국가 안전 기획부 설립 이래 첫 감사 실시/대한민국사 연표

1995년제1차 동시 지방 선거 실시, 민자당 참패(투표율 68.3%)/대한민국사 연표

2000년베트남전 참전 고엽제 전우회 회원 2,400여 명, 〈한겨레신문〉의 베트남 양민 학살 보도에 반발하여 소동/대한민국사 연표

2007년5·18 민주화 운동 마지막 수배자 윤한봉 사망/대한민국사 연표

유네스코 세계 유산 위원회, 제주 화산섬·용암 동굴을 세계 자연 유산으로 등재/대한민국사 연표

1970년대 남해 상주군 상주면 상주리의 지붕 개량 사업(출처; 우리역사넷)

글 김명호

ICPS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