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의 조선연구와 식민지적 지식 생산』

김용목 시민기자 승인 2024.08.29 20:18 의견 0

식민지주의는 시간이 흐르면서 신식민지주의neo-colonialism로 발전되었고, 탈식민화de-colonization는 이전 식민지의 제도적이고 문화적인 폭력의 숨겨진 부분을 해체하는 과정이다.

일본의 조선 지배를 뒷받침하는 데 인류학이 그 선봉에 있었다. 동경제국대학 이학부의 인류학교실은 일제의 식민지경영에 발맞추어 일본의 정치권력의 보호 하에 조사를 수행하여 그 성과들을 내놓았다.

대한제국이 일제의‘외지(外地)’가 된 상황 하에서 일본 군부(주로 육군)세력과 일본 정당세력들 사이에 식민지에 대한 주도권을 위한 정치적인 계산이 이루어졌을 뿐만 아니라 군부세력이 헤게모니를 쟁취한 이후에는 통치방식을 둘러싸고는 격론이 벌어졌는데 그 결론은 무엇이었는가 하는 것이 첫 번째 관심이었다.

그 이유는 조선총독부가 1920년 이후 조선의 민속조사에 많은 인력과 예산을 기울인 까닭은 무엇이며 그 조사방침과 방법은 무엇이었는가. 그 민속조사는 식민지 통치 기조의 변화에 따라서 어떻게 달라졌으며 그 과정에서 생산된‘조선인론’은 무엇인가. 그것이 식민지통치와 실제적으로 어떠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었는가를 고찰하기 위해 검토하지 않으면 안 되는 문제였다.

일제의 근대사에서 일본민족과 그 주변 민족의 발견, 그리고 그들 민족 간의 관계들을 고찰할 때 근대 학문의 미분화 상황 하에서 오늘날과 같이 고고학, 민속학, 인류학 등 관련 학과들이 세분화되어 있지 않았다. 일본에서 1894년에 동경인류학회가 발족되었고 그 다음 해에는 고고학회가 발족되었지만 엄격한 의미에서 양자가 구분되어 있었던 것은 아니다. 크게 보아 동아시아에서 일본의 패권이 점차로 확대되어 가는 과정에서 민족, 인종에 대한 조사와 연구는 현실적으로 큰 명분을 가지고 있었다.

학문의 구분보다는 그러한 큰 명분을 전제로 학제 간 조사와 연구 활동이 방향이었다. 일본은 1895년 청일전쟁에서 승리한 이후 대만을 차지하게 되었고 1910년에는 대한제국을 통치하게 되어 대만과 조선은 일본의 외지(外地)로 자리 매김이 되었다. 일본의 근대 학문들은 이와 같은 정치적 변화 상황에 종사하게 되었는데 민속학적 조사와 함께 일본 동경제국대학, 경도제국대학 등 출신의 인류학 및 고고학 전공자들이 요동반도, 만주, 몽골뿐만 아니라 대만과 조선에서도 인류·고고학적 조사를 수행하게 되었다.

식민지 지배 상황 속에서 이른바‘동아시아 인류학과 고고학’이 시작되었다. 그렇다면 그들 외지 가운데 조선에서 전개된 조선총독부의 고적발굴조사의 목표가 무엇이었으며 당시 고적발굴조사를 수행한 사람들의 의식과 조사방법은 무엇이었는가. 고적 발굴 성과에 대한 해석을 둘러싸고 그들 간에 이견 또는 갈등은 무엇이었는가. 또 고적발굴조사 사업이 식민지박물관으로서 조선총독부박물관과 어떠한 관계를 가지고 있었는가. 이 질문들은 오늘날 특히나 일제 식민지 시기의 고고학사 연구가 충분하지 않은 이유를 어디에서 찾아야 할 것이고 한국 고고학계에서 연구의 출발점을 어디에 설정해야 할 것인가, 또 현재 한국 국립중앙박물관과 지방의 국립박물관을 조선총독부박물관과 지방분관의 계승 또는‘재편’이라고 해석하든 한국박물관의 현재 과제에 대한 전반적인 수정의 필요성은 없는가 라는 현실적인 문제해결과 관련이 있다. 그 수정작업은 식민지문화의 해부이며 식민지 상황에서 벗어나 ‘새로 우리의 손으로 쓰는 역사’가 될 것이다.

최석영 지음, 크라운변형판, 양장, 536쪽

ICPS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