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물관이 된 우리 근대문화유산

1. 문화역서울284(상)-장엄한 식민지의 유산

김지연 승인 2024.08.04 09:46 의견 1

<암살>, <밀정>, <경성크리처> 등 일제강점기 시대를 다룬 한국 영화에서 빠짐없이 등장하는 공간이 있다. 아마 현존하는 근대 건물 중 근현대 시대극 배경으로 자주 등장하는 곳은 옛 서울역인 문화역서울284일 것이다.

2004년 KTX서울역 신역사가 생기면서 기차역으로서의 기능을 상실한지는 오래다. 2011년, 문화체육관광부가 전시, 공연, 기획 행사를 여는 복합문화공간으로 개장한 이후 ‘문화역서울284’로 재탄생했다.

일제강점기 때 건축되어 현재 복합문화공간 문화역서울284로 운영되고 있는 옛 서울역사


구 서울역의 역사를 알려면 1880년대 조선 말기로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 오랜 쇄국정책에 종지부를 찍고 고종이 개화에 눈 뜨고 나서 조선에 신문물이 한꺼번에 쏟아져 들어왔던 시기. 1887년 2월에는 경복궁 후원인 향원정에 최초의 전깃불이 켜졌고, 1898년 1월에는 청량리, 동대문, 종로, 서대문, 적십자 병원까지 전차 노선이 개설되었다.

경인선의 시작이었던 서대문역. 외국 영사관 밀집지역인 정동과 가까워 한때 전도유망한 정거장이었으나 경성역이 지어지고 나서 쇠락하고 만다.


대한제국 시기이던 1900년 7월에는 한강철교가 개통되어 인천에서 노량진까지만 운행하던 기차가 서대문역까지 운행하게 되었다. 경인선 철도가 서울 도심 한복판까지 들어온 셈이다.

1900년 한강철교가 완공된 후 목조건물로 지어진 남대문 정거장. 1925년 경성역으로 개조되기 전까지 규모가 더 컸던 용산역의 보조역 기능을 수행하는 정도였다.


철도가 부설되면 자연스레 역사(驛舍)가 지어진다. 1925년 이전까지만 해도 경인철도의 서울 종점은 서대문역이었다. 1900년 숭례문 근처에 새 건물을 짓고 이를 남대문정거장이라고 이름을 붙였다. 그러니까 서울역의 최초의 이름은 ‘남대문정거장’인 셈이다.

초창기 남대문정거장은 시골 간이역처럼 허름한 목조 건물이었다. 일제강점기가 본격화된 1922년부터 르네상스 양식의 새 역사로 바꾸는 공사를 시작했다. 1923년에는 역명을 '경성역'으로 바꾸고, 1925년 9월 새 경성역사가 준공되었다.

일제강점기 시절 경성역(서울역). 당시 경성의 일본식 발음인 '게이조'역이라고 불렀다.

사실 경성역은 일제가 조선을 수탈하기 위한 플랫폼이었다. 일제는 한반도를 전쟁 기지로 활용하고자 경성역을 중간 기지로 사용해 중국 본토까지 침략할 속셈이었다. 뿐만 아니라 조선에서 약탈한 물자들을 본국으로 빠르게 운반하기 위해서는 경성역이 중간 기착점으로 필요했다. 이후 광복을 맞으면서 경성역은 서울역으로 이름이 바뀌어서 2000년대 초반까지 사용되었다.

20세기 초반 기차의 속도는 기껏해야 시속 40㎞ 정도였다. 21세기 케이티엑스(KTX) 시대로 접어들어 시속 300㎞를 주파하자 서울역은 역사의 뒤안길로 물러나야 했다.

1925년 준공 이래 2003년 말까지 철도역 기능을 마감한 구 서울역. 복합문화공간 ‘문화역서울284’라는 새 이름을 얻었는데 '284'는 사적 284호로 지정된 것을 의미한다.

호주 연합군 정보국에서 촬영한 광복 직후 서울역 광장.한국영상자료원

그래도 옛 서울역은 여전히 견고해 보이고 근처 높은 빌딩에 전혀 주눅 들지 않고 위풍당당해 보인다. 푸른 원형 돔 지붕과 화려한 절충형 비잔틴 양식, 붉은 벽돌 타일과 조화를 이루는 백색 화강석 수평 띠는 지금 봐도 참 아름답다.
스위스 루체른 역사를 모델로 하여 경성역을 설계한 사람은 도쿄역과 경성 한국은행 본점을 설계한 일본 건축계의 거물 다쓰노 긴고(辰野金吾)의 제자 쓰카모토 야스시(塚本靖)로 알려져 있다.

화재로 전소되기 전의 스위스 루체른 역. 나무위키

도쿄에 가면 문화역서울284와 쌍둥이처럼 생긴 도쿄역이 있다. 경성역은 도쿄역의 4분의 1 규모로 ‘작은 도쿄역’이란 별칭이 붙기도 했다. 원래 도쿄역 만큼 웅장하고 화려하게 지으려고 했는데 1923년 도쿄 대지진으로 예산이 원래의 절반으로 삭감되었다고 한다.
그래도 규모나 외관만으로도 당시 유럽에 가볼 기회가 전혀 없던 서울 시민들에겐 엄청난 볼거리였을 것 같다. 조선총독부 건물보다 1년 먼저 준공되었으니 당시엔 장안의 화제였을 것이다.

2020년 문화역서울284 기획전 <호텔사회>에서 옛 경성역 내 이발소를 재현시켜 놓은 모습.

역 안으로 들어서면 12개의 석재 기둥과 돔으로 구성된 중앙홀이 관람객을 맞아준다. 화강암과 석재로 구성된 내부는 유럽 대성당 내부로 들어온 것처럼 숙연한 느낌도 든다.

1층 홀 왼편에는 일등, 이등 대합실과 귀빈 대합실이 있었다. 왼편은 고위직과 상류층 전용이었고 오른쪽은 일반인들이 사용했단다.

당시 귀빈대합실엔 고급스런 대리석 벽난로와 거울, 고급스런 벽지는 물론 그 시절 첨단 난방 시설이던 라디에이터까지 있었다고 한다. 해방 후 이 '귀빈 대합실'은 우리나라 역대 대통령들이 이용했었다.

2014년 설치미술가 최정화 작가의 전시가 열리고 있던 문화역서울284

비록 식민지 수탈용으로 지어졌지만 경성역은 당시 신문물의 도입지였다. 기차를 통해 가깝게는 중국, 멀리는 유럽 대륙에서 진귀한 물자들이 도착했다.

역사 내에는 우리나라최초의 양식당 이었던 '그릴'이 있었다. 당시 일본인 관료들과 대부분 친일파였을법한 부유한 조선인들은 이곳에서 맥주와 돈까스, 심지어 프랑스식 달팽이 요리까지 즐겼다고 전해진다. 봄가을 꽃 피는 시절과 단풍철이면 월미도와 온양 온천, 부산 등지로 향하는 행락객들이 역사를 메웠다.

옛 서울역의 이발소와 화장실로 사용되던 공간은 현재 복원전시실로 탈바꿈했다. 그곳은 현재 복원하면서 나온 옛 건물의 부자재와 장식품과 함께 역사적 사료들을 둘러볼 수 있는 상설관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제는 더 이상 기차가 다니지 않는 구 서울역사 플랫폼이었던 자리에는 롯데마트 건물이 들어 앉았다. 식민지 시절의 아픔을 뒤로 하고 문화역서울284는 공예품부터 첨단 미디어아트 까지 일년 내내 다양한 전시를 선 보이며 MZ세대에게도 각광받는 도심의 명소가 되었다.

현재 MZ세대를 겨냥한 최첨단 미디어아트 전시가 열리고 있는 문화역서울284.

전시공간으로 바뀐 문화역서울284(구 서울역).

내년이면 이 건물도 100살이 된다. 남대문정거장으로 시작해 경성역, 서울역을 거치며 현재 문화역서울284라는 전시공간으로 자리잡은 옛 서울역. 탄생 100주년엔 21세기를 살아가는 동시대인에게 어떤 의미로 다가올지 사뭇 궁금해진다.

ICPS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