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오늘 06.16.]242 어떤 교훈을 얻을 것인가

1550년[음]평안도 정주·귀성에서 여역으로 사망 90여 명, 환자 400여 명 발생/조선왕조실록//
1746년[음]전염병이 크게 번져서 공홍도(충청도)에서 1,657인, 경상도에서 1,614인이 죽음/조선왕조실록//
1756년[음]경기 등 5도에서 여역으로 죽은 자가 1만 8,000여 명에 이름/조선왕조실록

김명호 전문위원 승인 2024.06.16 08:41 의견 0

출처: contents.history.go.kr

918년[음]태조가 즉위조서를 반포함/고려사 고려사절요

929년[음]천축국 삼장법사 마후라가 옴/고려사

1154년[음]금이 사신을 보내 양 2,000마리를 하사함/고려사

1232년[음]최우가 왕을 위협하여 강화로 천도함/고려사

1393년[음]섬라곡국(暹羅斛國, 태국)에서 사신이 옴/조선왕조실록

1404년[음]열 번째로 소 1,000마리를 요동으로 보냄/조선왕조실록

1415년[음]전폐법(錢幣法)을 실시함/조선왕조실록

1433년[음]대마도에서 범종과 서책을 요청함/조선왕조실록

1461년[음]간경도감(刊經都監)을 설치함/조선왕조실록

1504년[음]전 이조 판서 홍귀달(洪貴達)이 처형됨(갑자사화)/조선왕조실록

1550년[음]평안도 정주·귀성에서 여역으로 사망 90여 명, 환자 400여 명 발생/조선왕조실록

1611년[음]영중추부사 윤승훈(尹承勳) 죽음/조선왕조실록

1629년[음]전란으로 없어진 책을 중국에서 사 오게 함/조선왕조실록

1660년[음]호남 산군(山郡)의 대동 절목(大同節目)을 제정함/조선왕조실록

1690년[음]원자가 왕세자(뒤에 경종)가 됨/조선왕조실록

1723년[음]신라 왕 시조의 묘호를 ‘숭덕(崇德)’으로 하고 고제(告祭)를 행하게 함/조선왕조실록

1725년[음]묘당에서 군포를 1인당 1필씩 봉납하면 군액을 면제해 주도록 아룀/조선왕조실록

1746년[음]전염병이 크게 번져서 공홍도(충청도)에서 1,657인, 경상도에서 1,614인이 죽음/조선왕조실록

1756년[음]경기 등 5도에서 여역으로 죽은 자가 1만 8,000여 명에 이름/조선왕조실록

1762년[음]가뭄으로 인하여 반찬을 줄이고 음악을 폐지하게 함/조선왕조실록

1774년[음]사문(私門)에서 형벌 사용하는 것을 금지함/조선왕조실록

1789년[음]규장각에 《여지승람(輿地勝覽)》을 완성하라고 함/조선왕조실록

1826년[음]전라도 흥해현에 표류해 온 유구국 상인을 북경에 호송하게 함/조선왕조실록

1827년[음]영남의 사학죄인을 처벌함/조선왕조실록

1844년[음]경상도 산청현(山淸縣)의 괘서 사건 죄인을 효수함/조선왕조실록

1882년[음]일본인, 울릉도에 불법 침입하여 목재 도벌 감행/근대사 연표

1900년영국 왕립 아세아 협회, 한국 지부를 서울에 창설/근대사 연표

1941년일제, 〈조선 광업령〉 개정/근대사 연표

1946년미 군정청, 국립 서울 종합 대학안(국대안) 발표, 경성 대학과 9개 전문학교 통합/대한민국사 연표

1948년이승만, 헌법 기초 위원회 참석, 대통령 책임제 표명/대한민국사 연표

헌법 기초 위원회, 통제 경제·자유 경제 병행 결의/대한민국사 연표

1949년제1회 총인구 조사, 남한 총인구 2,018만 4천여 명/대한민국사 연표

1962년송요찬 내각 수반 사임, 박정희 최고 회의 의장, 내각 수반직 겸임/대한민국사 연표

1964년대구 육군 8052부대 지하실에서 삼국시대 문화재 130여 점 발견/대한민국사 연표

1979년1979년 생명 보험 가입자 전년 대비 83.3% 증가/대한민국사 연표

1989년조치훈 9단, 일본 바둑계의 3대 타이틀 중 하나인 혼인보(本因坊) 차지/대한민국사 연표

1995년『즐거운 사라』 저자 마광수 연세대 교수, 징역 8월 집행 유예 2년 선고 확정/대한민국사 연표

1997년대형 쓰레기 소각장 3곳, 다이옥신 과다 배출로 가동 중단/대한민국사 연표

1998년정주영 현대그룹 명예 회장, 소 5백 마리를 싣고 판문점 통해 방북/대한민국사 연표

1999년영화계, 스크린 쿼터 사수 대회 개최/대한민국사 연표

2003년청계천 상인 3천여 명, 생계 대책 마련을 촉구하며 집회/대한민국사 연표

2007년이명박 한나라당 대선 예비 후보, 다섯 차례의 위장 전입 대국민 사과/대한민국사 연표

미국, 한·미 자유 무역 협정 가운데 노동과 환경 등 7개 분야 추가 협상 공식 제의/대한민국사 연표

1971년 청도군 문음면 방음동 새마을사업(출처: 우리역사넷)

글 김명호

ICPS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