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내용
작성자
제목+내용
검색
로그인
회원가입
검색
마이페이지
전체 메뉴
전체 메뉴
발굴연구
논문도서
보존관리
유산이야기
수리돌봄
교육활용
신업첨단
국제환수
지킴신탁
박물전시
사진영상
미래칼럼
인물문학
발굴연구
논문도서
보존관리
유산이야기
수리돌봄
교육활용
신업첨단
국제환수
지킴신탁
박물전시
사진영상
미래칼럼
인물문학
전체 기사
검색
로그인
회원가입
검색
마이페이지
제목
내용
작성자
제목+내용
검색
초기화
전체메뉴
전체기사보기
발굴연구
보존관리
교육활용
국제환수
지킴신탁
박물전시
미래칼럼
신문윤리강령
국제문화재전략센터
이용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이메일무단수집거부
Home
'윤명철 논설위원' 작성자 검색 결과
전체
다음
이전
미래칼럼
눈 큰 사슴-아내의 건강검진 결과를 먼나라에서 듣고.
눈 큰 사슴.ㅡㅡ아내의 건강검진 결과를 먼 나라에서 듣고. 윤명철 눈 큰 건 사슴만이 아닌데. 겁많은건 사슴만이 아닌데 착한건 사슴만이 아닌데 예쁜건 사슴만이 아닌데 똑똑한건 사슴만이 아닌데 부지런한 건 사슴만이 아닌데 사슴 만 아닌, 아내 그녀가 오늘 환하게 웃는다. 겁먹게 만든 그 게 별
윤명철 논설위원
2025.04.07 17:20
인물문학
일본 큐슈중부에 남은 고대한국문화 3
쓰루가(敦賀)에서 만난 왜, 가야, 신라, 고구려, 그리고 발해의 역사와 문화 쓰루가는 이렇게 한 일 고대사에서 중요한 지역이었으므로 주목할 만한 몇 가지 유적과 유물이 있다. 그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것은 게히(氣比)신궁이다. 좀 떨어져 세운 차에서 내려 천천히 걸어간다. 아. 얼마 만인가? 가슴이 뛰기도 하고 착찹하
윤명철 논설위원
2025.03.28 11:13
미래칼럼
일본 혼슈 중부인 쓰루가 지역의 고대한국문화 1
쓰루가(敦賀)에서 만난 왜, 가야, 신라, 고구려, 그리고 발해의 역사와 문화들윤명철 쓰루가 지역에 들어선다. 산 속 길을 계속 달리는 듯 하더니 바다가 나타났다. 범상치 않아 보이는 물들이 출렁거린다. 동해의 물들이다. 강원도의 양양, 경상도의 울진, 그리고 포항에서 보던 그 강하고 파란색 물들이다. 항구로 가서 정박한
윤명철 논설위원
2025.03.28 11:13
미래칼럼
연천 지역의 고인돌 이해
연천 일대에는 고인돌들이 매우 많았다. 지금은 일부를 빼놓고는 통현리 고인돌 공원을 만들어 모아 놓았다. 대표적인 고인돌은 왕징면 무등리 고인돌인데, 덮개석에 구멍들이 분명한 형태로 20여 개나 새겨져 있다. 그런데 다른 고인돌들과 달리 일정한 패천을 이루었는데, 북극성과 북두칠성이라고 본다. 진상리 2호 고인돌은 덮개석
윤명철 논설위원
2025.03.27 09:41
미래칼럼
한강 하류의 역사적인 환경
2. 한강 하류의 역사적 환경(1) 삼국시대 전기(방어체제의 1단계) 전곡리유적 등 구석기유적들이 발견되고 있어 일찍부터 사람들이 거주하였음을 알려준다. 신석기시대의 유적지들이 발견되어 한강 하류가 집단 취락지구였음을 알려준다. 渼沙里․岩寺洞 유적 등은 토기의 발견으로 유명하다. 벼농사 문제도 있다. 최근에는 김포․고양․
윤명철 논설위원
2025.03.27 09:41
미래칼럼
한강과 임진강의 이해
2 한강과 임진강의 이해한강은 우리나라 중부의 가장 중요한 하천으로서 길이가 481km이고, 유역면적이 압록강 다음으로 넓다. 남한강과 북한강이 양수리에서 합쳐진 후에 북서방향으로 틀어 도중에 王宿川․漢川․炭川․良才川․安養川․昌陵川․曲陵川 등의 지류와 합류한다. 평야가 발달하였는데, 가장 큰 규모는 김포평야의 일부로서 현
윤명철 논설위원
2025.03.27 09:41
미래칼럼
21세기 초문명시대. 왜 고대사를 공부해야할까?
21세기 ‘초문명’의 문 턱인데, 왜 굳이 고대사를 알아야 할까?윤명철 안녕하십니까? 진짜 봄이 왔군요. 저는 밭에도 가고, 나물도 캐고, 또 나물반찬도 먹고하니까 봄이 돌아온 것을 실감합니다. 몇일 전에는 밭에 갔답니다. 조금 높은데다가 길게 이어진 산과 연결된 야산 기슭에 있거든요. 아내가 앉아서 따사한 햇볕을 조이면
윤명철 논설위원
2025.03.27 09:40
미래칼럼
호로고루. 赤 기와편에 핀 白 민들레
호로고루성 赤 기와편에 핀 白 민들레윤명철 반 뼘 채 못된 붉은 기와조각 들고 한 숨 분다. 저 멀리 만주. 고향 떠나 와 귀환 못한 채 영영 여기 임진강 황토밭 된 병사들 넋에다. 그 너른 땅들 헤갈하다 들려 온, 듣고 온 고구려를 담아 와 깊게 우려낸 그리움 땜에. 때때로 볼거리처럼 애간장 태우며 굳는 심장 손
윤명철 논설위원
2025.03.27 09:40
미래칼럼
봄 날 역사학을 생각한다.
진짜 봄이 왔군요.저는 밭에도 가고, 나물도 캐고, 또 나물반찬도 먹고하니까 봄이 돌아온 것을 실감합니다. 몇일 전에는 밭에 갔답니다. 조금 높은데다가 길게 이어진 산과 연결된 야산 기슭에 있거든요. 아내가 앉아서 따사한 햇볕을 조이면서 칼질을 하는데, 후다닥 소리가 들리더라고요. 퍼뜩 머리를 스치는 것이 있어 고개를 산
윤명철 논설위원
2025.03.27 09:40
미래칼럼
人불 山불로 번지다.
人불들 山불로 번지다.윤명철 환장했나. 화가 충천했나. 억지로 삼킨 화덩이들로 새가슴 새까맣게 타들어가더니. 속불, 열불들 터져 히잉거리며 재티들 산지사방 날리면서 죽자고 쫓아 온 댑바람 올라 타 긴 꼬리 휘날리며 熱나게 도주하더니. 산 골 골. 숲 속 속으로 불씨들 떨구면서 산불들 지핀다. 애먼 물오르는
윤명철 논설위원
2025.03.27 09:39
미래칼럼
산불로 고운사가 소실됐다.
燒身(소신)한 고운사 전각 윤명철 그 절. 그 僧. 그 날. 그 밤. 전각 뒤 몸 숨긴 소쩌귀 法 치는 목탁 비비는 손바닥서 떨어지는 업장들 선방 창호지 뚫는 죽비 그믐 날 寅시 하늘 태우는 별똥들 남 몰래 묻고 온 사연들. 그 소리들. 두루 두루 모여드는 칠흑 전각 대청마루 바닥. 선 졸음기
윤명철 논설위원
2025.03.27 09:36
미래칼럼
발해와 일본국은 동맹관계였다.
윤명철 논설위원
2025.03.27 09:36
미래칼럼
한 겨울 고추밭 터에 앉아
한 겨울 고추밭 터에 앉아 윤 명철 고맙구나. 잘 자라서 너도 살았고. 사람들도 살았고. 고라니들도 살았고 고추벌레들도 살았고 잎 새들 스쳐가는 한 여름 바람들도 살았고. 이제 죽어서 언 땅에 비록 마른 가지로 박혀있지만 빈 땅 채우고. 쓸쓸한 마음들 댈래주고. 살아서 제 할 일 다했다는 존재를 알
윤명철 논설위원
2025.02.23 02:54
사진영상
7,000년전부터 한민족이 건넌 대한해협
https://youtube.com/shorts/p06XuaYo-ss?si=lPt0r0BuLg7y71h7대한해협은 12,000년 전에 생성됐습니다. 필
윤명철 논설위원
2025.02.22 13:40
미래칼럼
조선 말의 타율적인 개항과 비자발적인 근대화의 시작 2
개항에서 임오군란윤명철 대마도 최익현 유배지. 최익현은 을사조약 후 의병장으로 활동하다 일본에 붙잡혀 갔고 대마도에서 유배생활을 하다 단식 끝에 세상을 떠났다. 개항 후 한국의 지성계와 정계는 친일·신진·개화·진보 세력과 친청·기득·쇄국·보수세력으로 분리돼 갈등 또는 협력을 벌였다.1910년에 멸망할 때까지 병인양요부터는
윤명철 논설위원
2025.02.15 15:43
미래칼럼
조선 말의 타율적인 개항과 비자발적인 근대화 시작 1
개혁인가 신보수인가?개방인가 쇄국인가?어느 시대, 어느 집단을 막론하고 피할 수 없는 숙명이다. 이 힘겨운 과제를 어떻게 극복하는가에 따라 백성의 운명이 결정됐다. 조선은 백성에게 가난과 질병, 부패와 공권력의 폭력을 안긴 불행한 체제였다. 조선은 정조의 죽음 이후 60여 년 동안 세도정치가 지속됐다. 소수 가문이 왕권을
윤명철 논설위원
2025.02.15 15:43
미래칼럼
강화도 광성보 용두돈대앞에서
광성보 용두 돈대 찾은 업(業)둥이윤명철 흑조(黑潮). 새끼 깔 둥지 찾아 먼 바다 건너 와 짠물 민물들 뒤섞여 질주한다. 큰 몸뚱이 숨긴 채 자라처럼 쳐든 용 머리로 미친 듯 달겨들다 역린(逆鱗) 숨겨 둔 비늘 비늘에 찔린다. 살 점들 너덜 너덜 마디 마디 핏물 떨구면서 발버둥 친다. 떨며 잠복한 소년
윤명철 논설위원
2025.02.15 15:42
미래칼럼
정월 대보름날. 오곡밥
대보름 날. 오곡밥 윤 명철 오곡밥. 세상에 귀한 곡식들 끌어 모아 번들대는 무쇠 가마솥에 푹 쪄 보름달 덩이 처럼 동그란 밥사발에 수북 수북 담고. 나물. 세상 갖은 나물들 밭에 키우고, 산 들 쏘다니며 캐 온 나물들 삶고. 데치고. 무쳐. 동녘 해 같은 동그란 흰 접시에 담아. 둥그런 나무 밥상에 푸근하게
윤명철 논설위원
2025.02.12 23:56
1
|
2
|
3
|
4
|
5
내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