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내용
작성자
제목+내용
검색
로그인
회원가입
전체 메뉴
전체 메뉴
발굴ㆍ연구
논문·도서
보존ㆍ관리
유산이야기
교육ㆍ활용
수리ㆍ돌봄
국제ㆍ환수
지킴ㆍ신탁
산업ㆍ첨단
박물ㆍ전시
미래ㆍ칼럼
인물ㆍ칼럼
그림ㆍ시ㆍ수필
포스터ㆍ브로셔
사진ㆍ영상
발굴ㆍ연구
논문·도서
보존ㆍ관리
유산이야기
교육ㆍ활용
수리ㆍ돌봄
국제ㆍ환수
지킴ㆍ신탁
산업ㆍ첨단
박물ㆍ전시
미래ㆍ칼럼
인물ㆍ칼럼
그림ㆍ시ㆍ수필
포스터ㆍ브로셔
사진ㆍ영상
전체 기사
검색
로그인
회원가입
제목
내용
작성자
제목+내용
검색
초기화
전체메뉴
전체기사보기
발굴ㆍ연구
보존ㆍ관리
교육ㆍ활용
수리ㆍ돌봄
국제ㆍ환수
지킴ㆍ신탁
산업ㆍ첨단
박물ㆍ전시
미래ㆍ칼럼
신문윤리강령
국제문화재전략센터
이용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이메일무단수집거부
Home
'이필열' 작성자 검색 결과
전체
다음
이전
보존ㆍ관리
조선 수도 한양 수호의 4대 비보사찰(裨補寺刹)이었던 안정사(安靜寺)
성동구 하왕십리 종남산 무학봉 중턱에 있던 안정사(安靜寺)는 신라 흥덕왕 2년(827)에 중생 교화와 호국 기원 사찰로 창건되었다. 조선을 개국한 태조 이성계의 왕사인 무학대사가 ↓오랫동안 이곳에서 수양하였고, 한양의 대표적인 사찰로 한양수호 4대 비보사찰(裨補寺刹) 중 하나에 속하였다.조선의 수도인 한양을 지키는 4대
시민기자 이필열
2025.01.03 05:38
보존ㆍ관리
조선의 어린 소년 왕 단종과 정순왕후의 이별 다리 : 영도교(永渡橋)
영도교(永渡橋)는 청계광장 기준으로 청계천에 놓인 17번째 다리다. 종로구 숭인동과 중구 황학동을 잇는 청계천 다리다. 조선 태종 때부터 존재한 다리로 원래의 이름은 ‘왕심평대교(旺尋坪大橋)’로 불렸다. 현재의 다리는 1950년 청계천 복개 공사로 없어진 다리를 2005년 청계천 복원할 때 새로 세운 것이다. 현재의 다리
시민기자 이필열
2025.01.01 02:33
보존ㆍ관리
민족의 말 사랑이, 말들을 위한 제사로!
조선시대에 성동구 뚝섬 일대는 목장 지역으로 문헌에 자주 등장한다. 이곳은 청계천과 중랑천이 합쳐져서 한강으로 흐르는 곳이고 풀들이 잘 자라는 옥토였다. 그래서 이곳은 말(馬)과 관련이 있는 지명이 많다. 살곶이 다리는 조선시대에 가장 긴 돌다리로 한양과 지방을 연결하는 중요한 교통로로 이용되었다. 말들을 사육하는 살곶이
시민기자 이필열
2024.12.31 03:11
교육ㆍ활용
제18회 단양-양백문화제, 충북 단양 양백산 국선원에서 성대하게 열리다
2024년 10월 3일(목요일)은 단기 4357년 개천절이다. 10월 3일 오전 11시에 ‘제18회 단양-양백 문화제’가 양백문화재단 주최로 충북 단양 양백산에 있는 양백산 국선원에서 지역 주민 및 서울에서 단양에 내려온 여러 후원 단체들과 함께 성대하게 열렸다.‘단양-양백문화제’는 삼천 년 고조선 역사의 근간인 홍익인간
시민기자 이필열
2024.10.04 03:05
보존ㆍ관리
AI를 활용한 왕십리 역사와 문화 체험 프로그램
뜨거웠다. 한여름 날씨도, 왕십리를 사랑하는 사람들의 배움에 대한 열정도! 한낮의 불볕더위가 왕십리를 사랑하고, 배우려는 열정을 가로막는 것은 부족했다.‘생성형 AI를 활용한 왕십리 역사와 문화 체험 프로그램’은 한양여자대학교 LINC 사업단 및 성동문화재단이 주최하고 성동구의 문화 예술을 사랑하는 주민들이 참여한 두 달
이필열
2024.09.01 21:48
보존ㆍ관리
조선의 나그네들은 어디에서 숙박을 했을까!
조선시대에 팔도를 누비며 ‘대동여지도’ 지도를 만든 고산자(古山子) 김정호는 어디에서 하루의 고단한 몸을 뉘었을까! 1392년 이성계는 새로운 나라 ‘조선’을 세우고 1394년 조선의 수도를 ‘한양’에 천도하면서 사람들이 수도인 한양을 중심으로 모여들었다. 그 시대의 나그네들이나 여행객들이 묵었던 숙소는 어떤 시설들이 있
이필열
2024.07.17 07:02
보존ㆍ관리
성동구 사근동 고갯길에서 백호를 잡은 남이장군 - 장군의 은공을 기려 사근동에 사당을 세움
남이(1441~1468) 장군은 세종 23년에 태종의 외손자로 태어났다. 총명함과 용맹함을 갖춘 장군은 불과 17살의 나이에 무과에 합격하였다. 26살 때에는 세조의 집권 정책에 반대해 반란을 일으킨 이시애의 난을 평정하였고, 여진족을 격퇴하여 젊은 나이에 병조판서가 되었다. 28살이 되던 해에 반대파 유자광의 모함으로
이필열
2024.05.09 22:23
보존ㆍ관리
조선 세종 때에 시작된 '조선의 홍수 통제 시스템' : 수표와 수표교
수표교(水標橋)는 원래 청계천 2가에 있었던 다리로서 수표가 새겨져 있는 청계천의 다리이다. 조선 세종 2년(1420)에 놓였으며, 당시에는 이곳에 소와 말을 매매하거나 대여해주는 말 시장이 있었다 하여 ‘마전교(馬廛橋)’라고도 불리었다. 광통교와 함께 한양 도성에서 가장 유명한 다리였다. 500년간 서울 도심에 있던 수
이필열
2024.04.17 21:38
박물ㆍ전시
청계천의 전체 역사와 문화를 한 자리에서 물 흐르듯 관람 : 청계천 박물관
청계천 박물관은 수변 도시인 성동구의 청계천변에 위치해 있다. 성동구는 청계천, 중랑천, 한강의 수변과 접하는 물의 도시이다. 이곳에는 상수도와 관련된 수도 박물관이 있고, 하수도와 연관된 서울하수도과학관이 있으며 조선 시대부터 현재까지 청계천의 전체 역사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청계천 박물관이 자리하고 있다.청계천 박물
이필열
2024.04.12 06:15
교육ㆍ활용
세종이 창안한 조선의 인재 양성 시스템 : 독서당
조선시대에 세종이 만든 ‘독서당’이라는 국가의 인재양성 기관이 있다. 당시 세 곳의 한양 호수의 이름을 따서 호당(湖堂)이라고도 불렸다. 옥수동 한강 주변에는 동호(東湖), 용산 근처에는 남호(南湖), 마포 주변에는 서호(西湖)로 불리었다. ‘독서당(讀書堂)’은 조선 세종이 학자 양성 및 국가의 인재를 길러내기 위하여 건
이필열
2024.04.03 08:13
보존ㆍ관리
현존하는 조선시대의 가장 긴 돌다리 : 살곶이다리
성동구 행당동에 있는 돌다리는 조선시대에 가장 긴 다리로 격조 있고 당시의 첨단 기술로 만들어졌다. 청계천과 중랑천의 두 강이 만나 한강으로 흐르는 중랑천변에 놓여 있으며 600년이 된 돌다리이다. 본래의 이름은 성종때에 편편한 반석을 건너는 것 같다 해서 제반교(濟盤橋)라 불렀다. 언제부터 ‘살곶이다리’로 불렸는지 정확
이필열
2024.02.25 17:39
교육ㆍ활용
도시의 정맥, 아랫물길 - 하수도 분야의 국내 최초 '서울하수도과학관'
성동구에는 상수도 박물관인 ‘수도박물관’과 더불어 우리나라 최초로 하수도를 주제로 한 ‘서울하수도과학관’이 용답동에 자리하고 있다. 상하수도는 콜레라를 비롯한 전염병으로부터 인간의 수명을 무려 30여년이나 연장한 인류 역사상 가장 괄목할만한 개발로 간주된다. 상하수도는 세계적인 도시를 완성하는 필수조건이기도 하다. 상수도
이필열
2024.02.18 17:41
박물ㆍ전시
대한민국 상수도 역사를 한자리에! '수도 박물관'
인류 건강, 특히 인간의 수명을 30년 이상 연장하는데 가장 큰 기여를 한 것은 바로 상하수도 기술이라고 의사와 전문가들이 설문조사에 답했다고 한다. 인류에게 물의 역할이 작지 않았음을 보여준다.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상수도 설치를 한 곳은 성동구 성수동에 있는 뚝섬이다. 뚝섬은 원래 왕의 사냥터였고 왕이 사냥을 할 때 임
이필열
2024.02.01 19:40
보존ㆍ관리
長毋相忘- 오래도록 서로 잊지 말자 (추사 김정희 '세한도')
■기온이 급격히 내려간 날 오후에 국립중앙박물관 기증관에 있는 추사 김정희(1786~1856) 선생의 세한도 진품을 감상하러 갔다. ‘세한도(歲寒圖)’라는 뜻은 ‘날씨가 차가워지고 난 후 에야 소나무와 잣나무의 푸르름을 안다’라는 뜻이다. 그림에는 ‘오래도록 서로 잊지 말자’는 의미의 장상무망(長毋相忘)의 인장을 찍음으로
이필열
2024.01.26 23:07
교육ㆍ활용
백성을 위해 지도를 만든 고산자 김정호와 '고산자로'
왕십리역 2번 출구 앞에 왕십리 문화공원이 있다. 이 왕십리문화공원에 조선 후기에 '대동여지도'를 제작한 고산자 김정호의 동상이 서 있다.대동여지도는 1861년 김정호가 한국 고지도를 집대성하여 제작한 ‘최고의 목판본 한반도 지도’이다. 근대적 측량이 이루어지기 전에 제작된 한반도 지도로는 가장 정확한 지도로 알려졌다.
이필열
2024.01.24 06:17
교육ㆍ활용
왕십리를 대표하는 시인 김소월 (시 '왕십리')
김소월(1902~1934)은 일제 강점기에 시를 쓴 시인이다. 본명은 김정식이지만, 호인 소월로 우리가슴에 더 친근하게 닦아온다. 길지 않은 33년의 생애를 살면서 우리에게 ‘진달래꽃’, ‘엄마야 누나야’, ‘산유화’등 150여편의 주옥 같은 시를 남겼다. 1934년 평안북도 고향에서 33세에 짧은 삶을 마감했고, 민족의
이필열
2024.01.20 17:30
보존ㆍ관리
무학대사와 왕십리
성동구 왕십리는 조선 태조 이성계의 조선건국과 함께 600년이 넘는 세월을 함께해 온 오래된 동네이다. 1392년 건국초기에 무학대사의 천도설화에서부터 왕십리란 이름이 유래되었다. 왕십리는 도성 안처럼 거리가 번성하지 않았고 왕십리평이라고 불리기도 했을 정도로 들판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도성과 십리 거리에 위치하여 채
이필열
2024.01.18 21:18
보존ㆍ관리
우리나라 최초의 콘크리트 다리 (김제 만경 평야의 '새창이 다리')
조정래의 대하소설 ‘아리랑’은 전라북도 김제의 드넓은 평야를 주요 배경으로 스토리가 전개된다. 동학이후 8.15광복 까지의 민족의 아픈 수난과 정의를 향한 투쟁의 과정들을 그려 나간 작품이다. 김제 만경 평야는 전라북도의 만경강과 동진강 사이에 드넓게 펼쳐진 곡창 지대이며 전국에서 유일하게 지평선을 볼 수 있는 쌀 생산지
이필열
2024.01.14 21:52
1
내용
내용